소아당뇨 관리기기 구입 부담 완화 소식!

뉴스다오 속보

출처: [사실은 이렇습니다] 복지부 “소아당뇨 관리기기 구입 부담 완화 및 기기사용 교육 확대 조속 시행” - 보건… | 뉴스다오

소아당뇨 지원 대책의 내용과 목적

보건복지부는 2023년 12월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에서 결정한 소아당뇨 관리기기 부담을 완화하고 교육 기회를 확대하는 방안을 2월부터 조속히 시행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이 결정은 소아당뇨 환자의 관리를 개선하기 위한 중요한 이정표입니다. 이번 대책은 인슐린 분비 기능에 이상이 있는 1형 당뇨환자 중 자기 관리가 어려운 소아환자를 대상으로 하며, 다양한 지원을 통해 여러 가지 필요를 충족하고자 합니다.

특히, 소아당뇨 환자가 당면한 관리 비용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것이 주요 목적입니다. 이번 대책은 환자들이 보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필요한 기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관리 기기와 관련된 경제적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소아환자들이 보다 나은 치료를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재료비와 교육 기회 확대

보건복지부는 1형 당뇨환자를 위한 기기 구입 부담과 교육을 함께 확대하겠다는 방침을 세웠습니다. 우선, 인슐린 펌프와 연속혈당 측정기와 같은 필수 관리 기기의 환자 부담이 대폭 완화됩니다. 특히, 고기능 모델인 복합폐쇄회로형 인슐린 펌프는 기존 381만원에서 45만원으로 줄어들며, 연속혈당 측정기의 경우 월 19만원에서 10만원으로 인하됩니다.

이러한 지원이 시행되면 소아당뇨환자의 재정적 부담이 매우 줄어들 것입니다. 복지부는 이러한 변화가 소아당뇨 환자들은 물론, 그 가족들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이로써 환자들이 보다 자유롭게 치료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을 마련하였습니다.


기기 관련 교육 확대

소아당뇨 환자들이 기기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교육도 확대되며, 인슐린펌프와 관련된 교육은 의사와 간호사 모두 더 많은 기회를 갖게 됩니다. 처방 시 의사 교육 횟수가 기존 6회에서 8회로 늘어나며, 간호사에 의한 환자 사용 교육 또한 4회 확대되어 총 12회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이런 교육의 증가는 환자들이 기기를 보다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반이 됩니다. 특히, 식습관이나 생활습관 변화가 필요한 소아환자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치료 과정에서의 정보 소통도 원활해져 치료의 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됩니다.


재택의료 시범사업의 활성화

보건복지부는 1형 당뇨환자 재택의료 시범사업을 통해 효과적인 당뇨 관리 방안을 제공합니다. 이 시범사업은 환자들이 집에서도 효율적으로 당뇨를 관리할 수 있도록 체계적으로 돕는 것입니다. 대면 교육과 비대면 교육이 통합되어, 환자들이 필요한 모든 정보를 동시에 얻을 수 있게 됩니다.

현재 전국 49개 의료기관에서 참여하고 있으며, 연간 3천5백여명의 환자들에게 약 2만 건의 의료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사업은 환자들에게 필요한 관리 시스템을 더욱 확립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환자들이 보다 나은 치료 환경에서 관리될 수 있을 것입니다.


주기적인 모니터링과 개선 방안

보건복지부는 이번 대책의 효과를 모니터링하여, 환자들의 추가적인 어려움이 없는지 면밀히 살펴볼 예정입니다. 정기적인 검토는 정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데 필수적입니다. 이를 통해 환자들의 의견도 수렴하고 정책에 반영함으로써 관리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갈 방침입니다.

또한, 소아당뇨의 중증질환 산정특례 지정 요구에 대해서도 깊이 있게 검토할 것이라 전했습니다. 복지부는 특례제도의 취지를 고려하여 필요성을 파악하고, 가능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의지를 보였습니다. 이는 소아환자들이 보다 나은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기반을 확보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결론적으로, 보건복지부의 소아당뇨 지원 대책은 의료비 부담 완화와 교육 기회 확대를 통해 환자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정책이 지속적으로 발전하여 환자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문의 사항은 보건복지부 건강보험정책국 보험급여과(044-202-2734), 건강정책국 건강정책과(044-202-2815)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기사출처: 뉴스다오

빠르고 정확한 뉴스를 원한다면? 바로, newsda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