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약형 특성화고 10곳 선정 통한 지역 산업 인재!”
News ·출처: 지역산업 맞춤형 인재 키운다…‘협약형 특성화고’ 10곳 선정 | 뉴스다오
지역 맞춤형 인재 양성을 위한 협약형 특성화고
지역에서 교육과 취업, 정주까지 아우르는 인재 양성을 위한 혁신적인 모델이 실현되었습니다. 교육부는 지역 내 요구에 맞춘 인재 양성을 위해 ‘협약형 특성화고’를 선정하였습니다. 이는 지역 산업에 적합한 인재를 육성하는 데 중요한 기여를 할 것입니다. 이번 선정에는 9개 지역의 10개 협약형 특성화고가 포함되었으며, 내년 운영 전 학교별 1대1 자문단 지원도 예고되었습니다.
교육부는 이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역량을 지역 사회에 기여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방침입니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지역의 전략사업과 연계하여, 맞춤형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지역 취업률을 더욱 높이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이를 통해 지역은 필요한 인재를 양성하고, 학생은 안정적인 취업 기회를 만날 수 있습니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지역, 교육청, 기업, 특성화고 간의 협약을 통해 구성된 연합체로서, 이들 각 주체는 각각의 역할을 맡아 협력합니다. 학생들의 현장 실습, 채용, 심화 교육까지 종합적인 지원이 이루어질 계획입니다. 특히, 지역 대학과 연구소와의 연계가 커다란 힘을 발휘할 것입니다.
기업은 교육과정을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함께 나누고, 지역 내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체계적인 조치를 마련해야 합니다. 교육청은 자율학교 지정 및 교장 공모제를 통해 자유롭고 안정적인 학교 운영을 지원하며, 지자체는 학생들의 정주를 돕는 다양한 청년 정책 사업과 연계하여 취업 지원을 실시합니다. 이러한 여러 주체 간의 협력이 지역 인재 양성에 큰 역할을 할 것입니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단순히 직업교육을 넘어서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모델입니다.
교육부는 이번 협약형 특성화고가 지역 발전의 선도 모델이 되도록 체계적인 자문과 성과 관리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예정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지역사회에서 요구하는 인재를 효과적으로 양성하고 그들의 성장을 지원하는 기반을 마련할 것입니다. 내년 본격 운영 전 각 학교별 1대1 자문단 구성으로 협력 모델을 더욱 정교화하고 필요 사항을 지원하는 방안이 마련되고 있습니다.
궁극적으로 교육부는 최대 45억 원의 재정 지원을 통해 이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자율성을 부여하는 등 다양한 정책적 지원을 추진할 것입니다. 이러한 지원은 학생들이 자신의 역량을 최대한 발휘하며, 지역에서 안전하게 정착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지역이 함께 디자인하는 학교 모델의 도입을 통해 산학이 융합되는 계기를 마련하길 희망한다”며 “협약형 특성화고 모델이 성공할 수 있도록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는 반드시 지역 내 인재들의 지속적인 성장과 정주를 촉진할 것입니다.
이러한 노력은 단순히 교육의 틀을 넘어서, 지역 경제와 사회의 발전을 위해 중요한 초석이 될 것입니다. 앞으로 이 모델이 더 많은 지역으로 확산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협약형 특성화고는 교육, 취업, 정주과정의 통합적인 접근을 통해, 지역에서 우수한 인재가 양성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 협약형 특성화고는 지역의 특수 산업 분야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다.
- 교육부는 협약형 특성화고에 올해 10개 학교를 선정했다.
- 선정된 학교는 기업, 대학과 함께 산학융합 중심의 교육과정을 운영하게 된다.
- 협약형 특성화고는 학생의 취업률과 정주율을 높이는 데 집중한다.
- 지역 맞춤형 인재 양성을 위한 재정 지원과 정책적 지원을 약속하고 있다.
지역 | 특성화고 |
---|---|
서울 | 서울 특성화고 |
부산 | 부산 특성화고 |
대구 | 대구 특성화고 |
인천 | 인천 특성화고 |
광주 | 광주 특성화고 |
대전 | 대전 특성화고 |
울산 | 울산 특성화고 |
세종 | 세종 특성화고 |
경기 | 경기 특성화고 |
강원 | 강원 특성화고 |
이러한 지역 맞춤형 협약형 특성화고가 지역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고, 학생들이 지역에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입니다. 구체적으로, 기업과 교육청, 대학 등이 함께한 협력 모델은 학생들에게 더 나은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 사회 전체의 발전으로 이어질 것입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협력 모델이 계속해서 확산되기를 기대합니다.
문의는 교육부 평생직업교육정책관 중등직업교육정책과(044-203-6403)로 해주시기 바랍니다.
빠르고 정확한 뉴스를 원한다면? 바로, newsdao.kr